본문 바로가기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생육신

by 히히 호호 깔깔 허허 2024. 7. 24.

생육신은 조선 세조가 즉위하자 단종을 위해 벼슬을 버리고 절의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합니다.

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김시습: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던 문신으로, 단종이 폐위된 후에는 은둔 생활을 했습니다.

성담수: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강원도로 낙향하여 학문에 힘썼습니다.

원호: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전라도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습니다.

이맹전: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충청도로 낙향하여 학문에 힘썼습니다.

조려: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경상도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습니다.

남효온: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전라도로 낙향하여 학문에 힘썼습니다.

생육신은 사육신과 마찬가지로 조선의 충신으로 추앙받고 있습니다.

 

생육신과 사육신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육신: 단종 복위를 위해 거사를 꾀하다가 목숨을 잃은 신하들입니다. (김문기,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생육신: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단종을 위해 절의를 지킨 신하들입니다. (김시습, 성담수, 원호, 이맹전, 조려, 남효온)

 

생육신 이야기

옛날 옛적에, 조선이라는 나라에 세조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세조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왕이었지만, 왕위를 찬탈하는 방법으로 즉위했다는 비난도 받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세조는 단종이라는 어린 왕을 폐위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여섯 명의 신하들이 관직을 버리고 단종을 위해 절의를 지키게 되었습니다.

바로 생육신이라는 충신들이었습니다. 

김시습, 성담수, 원호, 이맹전, 조려, 남효온이라는 여섯 명의 신하들은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로 관직을 버리고 세조에 맞섰습니다. .

사람들은 생육신의 용기와 절의를 기억하며 그들을 조선의 영웅으로 칭송 하였다고 합니다.

생육신의 충성심과 절의는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권력이 아닌 정의라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또한, 어려움과 절망에 놓였을때에도 자신이 갈수 있는 길을 가며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노력하는 마음을  가질 것을 가르쳐 줍니다. 

생육신의 이야기를 기억하며 우리 모두 올바른 길을 걸어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생육신 중 김시습은 유명한 시인이었으며, 그의 시에는 단종에 대한 그리움과 세조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성담수는 뛰어난 학자였으며, 단종을 위해 여러 책을 저술했습니다.

원호는 훌륭한 무사였으며, 단종을 위해 싸우다 전사했습니다.

이맹전은 곧은 성격으로 유명했으며, 세조의 잘못을 시정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습니다.

조려는 단종을 위해 끊임없이 기도했으며, 그의 진심이 하늘에 통했다고 전해집니다.

남효온은 백성들에게 존경받는 선비였으며, 단종을 위해 백성들을 이끌었습니다.

생육신은 조선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인물들입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정의와 용기, 그리고 희생의 중요성을 가르쳐주는 귀중한 존재입니다.

 

 

생육신 중 김시습의 시 

김시습은 조선 세종 때부터 활동한 문신이자 시인으로, 단종에 대한 충성심과 절의로 유명합니다.

세조 즉위 후 관직을 버리고 은둔 생활을 했던 김시습은 단종에 대한 그리움을 시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시가 **"석보상 칠정사"**입니다. 이 시는 단종이 유폐된 칠정사를 찾아간

김시습이 단종을 만나지 못하고 돌아오는 슬픔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늙은 몸으로 길을 멀리 가니

먼저 칠정사에 이르렀네.

풀잎에 이끼 맺히고

나무 그늘에 햇빛 비추니.

옛날 일들이 생각나니

눈물이 저절로 흘러내리네.

임금을 만나 뵈옵지 못하고

쓸쓸히 돌아오니.

바람 소리는 울고

새 소리는 슬퍼하네.

하늘도 흐리고 땅도 어둡고

세상은 모두 슬퍼하는구나.

 

이 시는 단종에 대한 김시습의 깊은 애정과 세조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늙은 시인의 슬픔과 절망을 생생하게 표현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김시습은 이 외에도 단종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많은 시를 남겼습니다.

그의 시들은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정치와 사회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주 치마 권율  (0) 2024.07.26
몸 바쳐서 논개  (0) 2024.07.25
사육신  (0) 2024.07.23
태정태세 문단세  (0) 2024.07.22
나라구한 이순신  (0) 2024.07.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