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운동발달은 신체 성장과 뼈와 근육, 대뇌 중추신경계의 통합 성장으로 신생아기의 단순한 반사운동에서 눈과 손의 협응력과 같은 구체적 조작 기능과 배밀이와 같이 몸을 이동시키는 이행운동으로 발달하게 된다.
1) 운동발달의 원리
영아의 운동발달은 신체발달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순서와 기본원리에 의해 진행되는데 영아의 개별적 발달 특성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2) 운동발달의 특성
영아기 운동발달은 크게 눈과 팔, 손의 협응으로 물체를 만지거나 잡으려는 조작 기능과 운동발달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몸을 움직여서 장소를 이동하는 이행운동 두 가지로 구분된다.
-조작 기능의 발달
조작 기능은 손과 팔을 이용해서 어떤 사물을 만지거나 잡으려는 근육의 운동이다. 할버슨(Halverson, 1931)은 정육면체 블록을 잡는 실험을 통해 손과 팔의 조작 기능은 도달(reaching), 파악(prehension), 손 조정(manlpulation) 및 손가락 운동의 순서로 발달한다고 보고했다. 사물을 잡기 위해서는 단순히 손과 팔의 운동능력의 발달뿐만 아니라 눈과의 협응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 기능은 신생아기에 나타나는 파악 반사(grasping rehex)가 있지만 생후 4개월이면 사라지게 되고 이는 단순한 자극에 따른 반응일 뿐 학습에 의한 기능은 아니다. 영아 자신이 의도적으로 파악하고 기능할 수 있는 시기는 공간지각이 발달하고 엄지를 쓸 수 있는 출생 후 5개월 경이며, 생후 7~10개월이 되어야 손가락의 협응력이 생겨 손가락과 엄지를 이용하여 물건 집기가 가능하다(안영진, 1997), 생후 12~14개월에는 두세 손가락 끝으로 사물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어 모자나 양말 등을 벗을 수 있다. 18개월경에는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블록 2~3개를 쌓는 블록놀이도 가능해진다. 숟가락 사용 및 스스로 옷을 벗을 수 있는 시기는 생후 23개월 이후이다.
-이행운동의 발달
영아의 이행운동은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려 회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후, 영아가 주변에 대한 호기심을 발현하고 탐색 활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이행운동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게 된다. 영아는 생후 2개월경 목 가누기를 기반으로 3개월부터는 땅을 발로 차고 올라 머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4개월 경이되면 엎어져 있을 때 몸을 뒤집을 수 있으며 5개월이 되면 엎드리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부터 성인이 등을 받쳐 주면 잠깐 동안 앉을 수 있고 6개월경에는 혼자서 앉아 활동을 할 수 있다. 8~9개월이 되면 배를 바닥에 대고 기는 운동이 시작되며 손과 무릎으로 기는 운동은 10개월이 되면 완성된다. 12개월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을 사용하여 U자형으로 기는 운동이 완성되는데 개인차 및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어떤 영아는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길 수도 있다.
영아의 보행은 일어서서 지탱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생후 8개월경의 영아는 붙잡아 주면 설 수 있으며, 9개월이 지나면서 물체를 잡고 일어서게 되고, 11개월에는 성인의 손을 붙잡고 도움을 받아 걸을 수 있다. 또한 생후 12개월 경이되면 혼자 일어설 수 있으며, 13개월 이후에는 계단을 기어오르게 되고, 15개월이 되면 성인 및 사물의 도움 없이 스스로 걸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행운동의 발달은 뒤집기, 앉기, 기어 다니기, 일어서기, 걷기 등으로 발달의 앞 단계는 다음 단계의 기초가 되어 처음부터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며, 영아 개인차에 따라 발달의 속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영아가 평균적으로 생후 15개월을 전후로 하여 걸을 수 있지만 발달이 늦은 영아의 경우 20개월이 지나서 걸을 수 있으며, 10개월 이전에 걸을 수 있는 영아의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행운동은 신체운동만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중추신경의 발달이 함께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따라서 영아의 보행 발달이 평균 월령보다 늦어지면 영아의 뇌 발달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기의 청각의 발달 (0) | 2022.03.16 |
---|---|
영아기의 지각발달 (0) | 2022.03.16 |
영아기의 생리 기능의 발달 (1) | 2022.03.13 |
영아기의 골격과 근육 그리고 치아의 발달 (0) | 2022.03.13 |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신체 성장과 발달 (0) | 2022.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