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는 대상 개념(object concept)과 대상 영속성(objectpermanence)이 감각 운동기의 영아가 성취해야 하는 인지발달의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대상 개념은 영아가 자신을 포함한 모든 대상들이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함을 의미하고, 대상 영속성은 사물이 영아 눈앞에서 사라지거나 사물에서 영아 자신이 이동하여 보이지 않게 되어도 사물은 그 자리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들은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감각 운동기 4단계인 그림 8-6 대상 영속성 제2차 순환 반응기부터 형성되나 영아는 물건을 다른 장소에 옮겨도 처음 장소에서 찾으려고 하는 오류를 경험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 6단계 정신적 결합기에서 온전히 획득하게 된다.
피아제가 제시하는 대상 개념의 발달 6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0~2개월경)
이 시기의 영아는 시야 내의 대상은 바라보지만, 영아의 시야 밖으로 사라진 대상은 찾으려 하지 않고 어떠한 관심도 표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기의 영아에게 있어 대상 영속성의 개념은 전혀 없다.
2단계(2~4개월경)
영아의 시야 내에 있던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사라진 곳을 잠깐 동안 쳐다보지만 계속적으로 찾으려고 하는 의지가 없다. 예로 딸랑이를 흔들다가 떨어뜨리면 그곳을 쳐다보다가 성인에게 다시 갖고자 하는 어떠한 사인도 보내지 않고 다른 장난감을 찾거나 주변 환경을 탐색하는 등의 행동을 한다. 이 시기의 영아에게도 대상 영속성 개념은 형성되지 않는다.
3단계(4~8개월경)
영아는 자신의 주변에서 사라진 사물을 능동적으로 찾으려 한다. 이는 보이지 않는 사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으로 대상 영속성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시기의 영아는 사물의 일부가 자신의 시야 내에 있는 경우에만 사물을 찾으려는 행동을 보이고, 사물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에는 찾으려는 행동은 보이지 않는다.
4단계(8~12개월경)
영아는 자신의 시야 내에서 완전히 사라진 사물도 능동적으로 찾으려고 하며, 사라진 장소에서는 정확하게 사물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영아는 처음과 다른 장소에서 사물이 사라져도 처음 사물이 사라진 장소에서만 사물을 찾으려 한다. 이는 항시 대상물이 있던 장소에 대한 인지와 그것을 찾는 감각운동적 행동이 결합된 습관화에 따른 행동이다. 예로, 피아제의 자녀 기록에서 양쪽 팔걸이를 헝겊으로 덮은 소파에 로랑을 앉히고 오른쪽 팔걸이 헝겊 아래(A)에 시계를 숨겼더니 로랑은 바로 시계를 찾았다. 여러 번 반복 후 이번에는 왼쪽 팔걸이 형겊아래(B)에 시계를 숨겼더니 로랑은 이전과 같이 오른쪽 팔걸이 헝겊을 들추며 시계를 반복적으로 찾는 모습에서 대상 개념의 4단계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 단계의 영아에게서는 A장소에 숨겨진 사물은 찾을 수 있지만 B장소에 숨겨진 사물을 찾지 못하고 이전과 같이 A장소에서만 사물을 찾으려는 AB오류가 나타난다.
5단계(12~18개월경)
이 시기의 영아는 사물을 여러 장소로 이동하면서 옮겨도 마지막 사라진 장소에서 사물을 찾을 수 있다. 4단계에서의 AB오류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영아가 볼 수 없는 공간에서 사물을 이동하는 경우 영아는 표상 능력이 부족하여 사물을 찾기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는 영아는 아직 사물의 위치에 대한 정신적 표상으로 추적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단계의 영아는 대상 영속성의 개념을 온전하게 획득하지 못한다.
6단계(18~24개월경)
대상 영속성의 개념을 온전히 획득하는 시기로 영아는 사물의 이동을 보지 못했어도 정신적 표상이 모두 가능하여 사물의 이동 과정을 추적하여 사물을 찾을 수 있다. 예로, 피아제의 자녀 기록에서 자클린이 소파 밑으로 공을 떨어뜨렸는데 자클린은 소파 밑바닥에서 공을 찾지 않고 소파 뒤로 돌아가 공을 찾아 집었다. 이와 같이 영아는 감각 운동기 마지막 단계에서야 사물과 자신은 개별적 존재이고 영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기의 언어 발달 과정 - 전언어기 (0) | 2022.03.23 |
---|---|
영아의 언어 발달 이론 (0) | 2022.03.23 |
영아의 감각운동의 발달 (0) | 2022.03.21 |
영아의 촉각의 발달 (0) | 2022.03.20 |
영아의 미각의 발달 (0) | 2022.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