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달한다. 발달이란 출생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 동안에 나타나는 계속적이고 연속적인 모든 변화의 양상과 과정을 말한다. 발달적 변화의 과정은 신체, 운동기능, 지능, 사고, 언어, 성격, 사회성, 정서, 도덕성 등 인간의 모든 특성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약물이나 피로에 의한 일시적인 변화나 잠시 나타나는 변화와는 구별된다. 이러한 변화는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뜻하는 것으로 전 생애에 걸친 발달과정 중에 일어나는 양적인 증가나 기능적인 효율성의 증가 등 긍정적 변화, 부정적 변화 역시 발달이라 할 수 있다. 양적 변화는 신장, 체중 어휘력 등에서 보이는 크기 또는 양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질적 변화는 지능의 본질이나 정신작용에서의 본질, 구조 또는 조직상의 변화를 의미한다.
발달은 성장, 성숙, 학습의 개념과 밀접하게 공존하면서 이루어진다. 이 세 가지 개념은 모두 '변화'와 관련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엄밀히 비교하면 각기 다른 특성과 강조를 나타낸다.
성장은 신체적, 생리적 측면의 양적 증가를 뜻하며, 성숙은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 등과 같은 생리적인 기능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발달은 인간의 변화과정을 좀 더 포괄적인 것을 의미하며 수정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양적 변화과정과 질적 변화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성숙이나 성장과 달리 학습은 연습과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변화이며 성숙이나 성장과 마찬가지로 발달을 돕는다. 그러므로 성장이나 성숙 그리고 학습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변화가 상향적이거나 또는 하향적일 때 이를 발달이라고 본다. 즉, 인간의 발달은 일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성숙, 학습의 변화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동 시기의 변화 양상은 신체와 운동적, 인지적, 언어적, 정서적 및 사회적 측면 등 아동의 모든 발달 측면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각 측면의 발달에서의 변화과정을 각각 생물 할 적 과정, 인지적 과정, 사회-정서적 과정으로 일컫는다. 생물 할 적 발달은 신체적 변화와 관련된 것,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인자, 뇌와 감각기관의 발달, 인지적 발달에는 개인의 사고, 지능, 언어에서의 변화가 포함된다. 사회-정서적 발달은 가족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의 대인관계, 정서-성격의 변화, 사회적 환경의 변화 등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은 서로 분리되거나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질 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복합적인 관계이다. 예를 들어 신체적 성장은 아동의 언어 획득이나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언어 획득은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발달이란 인간의 수정 순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양적-질적 변화이며 이러한 변화는 유전과 환경, 그리고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에 대한 연구설계 방법 (0) | 2022.02.10 |
---|---|
아동발달 연구를 위한 접근방법 (0) | 2022.02.09 |
발달에 대한 쟁점 (0) | 2022.02.08 |
아동 발달의 원리 (0) | 2022.02.08 |
발달단계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