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들은 일정한 기간의 간격을 두고 행동의 변화를 보거나 연령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연구하는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발달적인 변화에 관심을 둔다. 아동이 연구되는 횟수나 연령 증가에 따른 발달적 연구를 위해 종단적 연구, 횡단적 연구, 이 두 가지 방법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최소화하여 절충적인 접근으로 조합한 형태인 순차적 연구가 있다.
1. 종단적 접근법
종단적 접근(longitudinal approach) 방법은 동일한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그들에게 나타나는 발달 현상을 계속적으로 추적해가며 연구하는 것으로 일정기간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이다.(Craig,1999). 즉, 일정 집단의 아동 대상으로 여러 연령 시기에 걸쳐 여러 번 측정하면서 장기간 연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2003년에 1세, 2005년에 3세, 2007년에 5세, 2009년에 7세, 2011년에 9세 되는 해당 연구대상 아동이다 아동 집단을 몇 년간 반복하여 측정하며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다.
종단적 접근법의 장점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개인의 성장과 행동 특성의 변화 양상을 더욱 확실하게 밝혀 낼 수 있으며,
어느 한 시점에서의 발달 상태보다는 발달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모습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본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구를 수행하는 데 노력, 시간, 연구비용이 많이 들고, 연속적으로 환경을 통제하기가 어려우며, 연구대상이 중간에 탈락하거나 계속 유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종단적 접근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수년에서 수십 년까지 계속될 수 있다. 지능에 관한 종단 연구로 버클리의 성장 연구(Berkeley growth study)는 36년 동안이나 계속되었고, IQ의 변화와 관련된 성격 특성, 부모 변인 등의 관계를 밝히려는 펠스 연구소(Fels Institute)의 연구는 30년 동안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2. 횡단적 접근법
횡단적 접근(cross-sectional approach) 방법은 각기 다른 연령의 여러 개인이나 집단을`동일한 시기에 연구하는 방법이다(Zanden,1997), 서로 다른 연령의 아동들을 동일한 시기에 관찰하거나 측정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면, 연구자는 2011년에 각각 1세, 3세 5세, 9세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주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해 연령에 따른 연구결과를 규명할 수 있다. 동시에 여러 연령층을 연구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며, 종단적 접근법에서는 계획에 따라 몇 년이 소요되어야 얻을 수 있는 결과를 횡단적 접근법에서는 단시간에 얻을 수 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나 발달적 변화 경향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연령 집단 간의 차이만을 비교함으로써 발달의 전반적이고 개략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지 개개 아동에 따른 개인차나 발달적인 경과의 변화를 밝혀 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순차적 접근법
순차적 접근(sequential approach) 방법은 단기 종단적 방법(short-term longitudinalapproach)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횡단적 방법과 종단적 방법의 장점을 채택하고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절충한 방법이다. 즉, 종단적 방법과 횡단적 방법을 혼합한 형태로서 서로 다른 여러 연령층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는 방법이다(Craig,999). 이 방법은 다른 시기에 태어난 같은 연령의 아동 집단을 둘 이상 선정하여 수년 동안 종단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연구기간이 종단적 방법에서 소요되는 것보다 1/2 정도로 짧으면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간효과와 사회적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1세, 3세, 5세의 유아를 연구 대상자로 각각 선정하여 검사를 한 후 1세 유아를 3세, 5세, 7세 때 3세 유아를 5세, 7세, 9세 때, 5세 유아를 7세, 9세, 11세 때 재검사를 실시한다면 결과적으로 세 연령의 집단을 동시에 연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2년 간격으로 세 번에 걸쳐 재검사를 한 것이 된다. 또한 다른 시기에 태어난 같은 연령 아동을 비교함으로써 동시 집단의 효과(cohort cffect)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종단적, 횡단적 비교가 가능해 연구결과에 좀 더 확신을 가질 수 있으나 시간과 비용의 투입에 비하여 연령에 따른 정확한 변화를 연구하기에 부족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발달 연구자료 수집 방법 (0) | 2022.02.11 |
---|---|
아동에 대한 연구설계 방법 (0) | 2022.02.10 |
발달에 대한 쟁점 (0) | 2022.02.08 |
아동 발달의 원리 (0) | 2022.02.08 |
발달단계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