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들이 아동의 발달 특성을 여러 가지 많이 설명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원리에 의해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한 아동의 발달 특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하지만 기본적이고 일반적 아동 발달의 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은 계속적이며 누적적이고 순서적이다.
발달은 단절적이기보다는 일생 동안의 계속적(continual), 누적적(cumulative)이며 순서적(sequential)인 과정으로 일어난다. 영아기를 거치치 않은 유아기는 없고, 유아기를 거치지지 않은 아동기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발달이 연속적(continuous)인가, 비연속적 또는 단계적(discontinuous)인가에 대해서는 발달이론마다 서로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행동주의 이론과 사회문화적 이론은 연속적 발달로 설명하고, 정신분석 이론과 피아제 이론은 단계적 발달로 설명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연속과 단계의 두 가지 입장으로 발달을 설명하였다. 인간발달 설명에 대한 최근 동향으로 새로운 역동적 체계 관점도 대두되었는데, 어떤 입장이든 발달에는 뛰어넘을 수 없는 계속성, 누적성 그리고 순서 성이 있다.
둘째,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관성 및 상호작용이 있다.
발달의 원인으로는 크게 유전(mature) 요인과 환경(nurture) 요인을 들 수 있다. 유아 발달에서 이 두 가지 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성숙 이론은 유전을 강조하였고, 행동주의 이론과 생태학적 이론은 환경을 강조하였다.
정신분석 이론, 피아제 이론, 비고츠키 이론은 유전과 환경 모두를 강조하였다.
결국 발달은 개인의 유전적 요인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발달은 결정적 시기 또는 민감한 시기가 있다.
발달은 각각의 발달마다 중요한 발달적 특징이 있다. 그 특정 측면의 발달은 발달단계에 따라 속도고 일정하지 않다. 각 발달 영역에는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시기가 있는데, 이를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또는 민감한 시기(sensitive period)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유아의 경험과 주변 환경은 한 유아의 평생을 좌우할 수도 있다.
넷째, 발달은 통합성이 있다.
발달의 영역 측면은 상호 관련(interrelated)되어 있다.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 발달, 정서발달, 사회발달 등의 각 발달영역은 서로 무관하게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총체적인 유아(whole child)로 발달해 나가는 것이다.
다섯째, 발달은 독특성과 보편성이 있다.
발달에는 유아 각자의 개인차 및 개별성(unique)이 있다. 유아 개개인은 독특한 욕구, 동기, 행동양식을 갖고 있다.
또한 여기에는 문화적 차이, 언어적 차이, 사회계층의 차이, 정상과 특수아의 차이 등도 포함된다.
이렇게 모든 유아가 서로 다르지만 거기에는 또한 서로의 공통성, 유사성이 있다.
유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욕구, 특징, 현상이 일어나는 보편성(universal)도 있다.
여섯째, 발달은 방향성과 분화성이 있다.
발달에는 일정한 순서적 방향성이 있다. 발달은 무질서하게 막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성이 있다.
발달은 상부에서 하부로(top-tobottom development), 즉 머리에서 발의 방향(head-to-tail direction)으로 진행된다.
또, 가까운 곳에서 먼 곳 방향(near-to-far direction)으로 진행된다. 즉, 신체의 중심부가 말초보다 먼저 발달(inner-to-outer development)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에서 특수의 방향(mass-to-spectfic direction)으로, 즉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발달(simple-tocomplexdevelopment)한다. 대근육에서 소근육으로, 또는 미분화된 전체 운동에서 분화된 움직임으로 발달해 나가는 것이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에 대한 연구설계 방법 (0) | 2022.02.10 |
---|---|
아동발달 연구를 위한 접근방법 (0) | 2022.02.09 |
발달에 대한 쟁점 (0) | 2022.02.08 |
발달단계 (0) | 2022.02.07 |
아동발달의 의미 (0) | 2022.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