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울 비(Bowlby, 1969)는 영아와 주 양육자 사이에 형성되는 유대관계를 애착(attachment)이라는 용어로 발달심리학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애착이란 특정한 두 사람 간에 형성되는 애정적인 유대관계'로 정의되며 이는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특징적인 행동이다(강경미 외, 2006), 생후 6개월경에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이는 점차적으로 기타 가족으로, 또래 친구들로 확대 형성된다. 영아의 애착 형성 행동은 애착 대상과의 접촉을 끊임없이 지속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애착 대상이 사라지면 슬픔의 정서를 표출하고, 애착 대상 및 애착물과 함께 있으면 편안한 감정을 표출하지만 애착 대상이 아닌 타인과 함께 있는 경우에는 초조함과 불안함의 감정을 표출한다.
애착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에 대해서 과거에는 수유나 이유식 등 생리적인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라 여겼으나, 할로우(Harlow)는 접촉이 중요한 애착 형성의 요인임을 증명했다. 할로우는 애착을 주제로 한 독창적인 많은 연구를 진행했었는데, 대표적인 연구는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할로우는 하나는 먹이를 주는 철사로 된 원숭이, 다른 하나는 먹이를 주지 않지만 천으로 만들어져 있어 편안함과 사랑을 주는 원숭이로 두 개의 인공 어미를 만들어 주고 새끼 원숭이에게 자기의 양부모를 스스로 택하게 했다. 새끼 원숭이는 먹이를 먹기 위해 일단 철사로 만들어져 있는 가서 배를 채우고는 천으로 만들어진 어미에게서 18시간 이상을 지냈다. 즉, 새끼 원숭이는 먹이가 풍부한 철사 어미 원숭이보다는 부드럽고 포근한 촉감을 주는 벨벳 어미 원숭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애착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증명하듯이 영아의 애착은 애착 대상자와의 부드럽고 따뜻한 접촉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듯 애착은 양육자가 영아의 정서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고 애정을 담아 반응함으로써 형성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온전한 애착이 형성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향후 영아의 성격발달 및 사회성 발달에도 문제가 된다. 영아가 안정애착을 형성하지 못하면 애착의 다음 발달인 신뢰감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영아가 성장한 후에도 대인관계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의 유형 (1) | 2024.02.17 |
---|---|
영아기 애착행동의 발달단계 (0) | 2022.03.31 |
영아의 사회성과 자아인식의 발달 (0) | 2022.03.29 |
영아의 정서발달 (0) | 2022.03.28 |
영아의 기질발달 (0) | 2022.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