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론

애착의 유형

by 히히 호호 깔깔 허허 2024. 2. 17.
반응형

애착의 유형은 부모의 일관적인 상호작용 및 반응과 영아의 수용에 의해 영아기 애착이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영아기 애착을 애인스워스(Ainsworth)는 여덟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된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하여 영아의 애착의 질을 평가해서 크게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으로 구분하고, 다시 세부적으로 불안정애착을 회피애착, 저항애착, 혼란애착으로 분류하여 총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안정애착의 경우 부모는 자신의 행동을 아이의 욕구를 반영하여 맞추고 밝은 미소와 온화한 분위기 속에서 풍부한 감정을 표현하고 잦은 신체 접촉을 통해 애착을 형성한다. 반면 불안정애착의 경우는 부모가 일관성 없는 태도로 영아를 대하거나 영아와 부모 간의 신뢰감 형성이 부족하고 영아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낯선 상황에서 애착반응 유형

안정애착 :

・안정애착이 형성된 영아는 엄마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분리불안을 갖지않음 표본의 65% 정도 ・엄마가 늘 자기 주변에서 자신의 욕구에 일관성 있게 반응함을 인지하고어머니와 분리된 후에도 능동적으로 주위 탐색을 통해 안정감을 가짐 • 간혹 분리 후에 울음을 보이 기도 하나 엄마가 돌아오면 금세 울음을 멈추고 반갑게 맞이하며 평온을 찾음 회피애착: ・엄마와 친밀감이 형성되지 않아 낯선 사람을 대하는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보임 표본의 20% 정도 ・엄마와 분리되어도 울지 않음

・엄마가 돌아와도 반갑게 맞이하기보다는 회피하거나 무시하는 행동을보임 저항애착

・엄마와의 분리 이전부터 불안해하며 엄마 옆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노력함 표본의 10~15% 정도 ・엄마와 분리가 되면 심한 분리불안 증세를 보임

・엄마가 돌아왔을 때는 엄마의 접촉 시도는 무시된 채 쉽게 안정감을 찾지못하고 엄마를 밀어내며 심한 울음과 소리로 분노를 표출하고 저항함 혼란애착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이 결합된 것으로, 가장 불안정한 애착의 유형임 표본의 5~10% 정도 ・엄마와 분리가 이뤄졌을 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매우 심한 불안을나타내는 양극화 현상을 보임 .엄마가 돌아왔을 때 표정의 변화 없이 엄마에게 다가가거나 엄마와의접촉에도 관심을 갖지 않음 낯선 상황에서 애착반응 실험은 영아의 애착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되지만,이 실험결과를 통한 영아의 애착을 구분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이므로, 이 연구와더불어 워터스와 그의 동료들(Waters et. al., 1995)이 개발한 Q-sort 평가를 통해 부모는영아와의 애착 정도를 확인하여 영아와의 온전한 애착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통해 영아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반응형

'아동발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기의 신체발달  (0) 2024.02.19
낯가림과 격리불안  (0) 2024.02.18
영아기 애착행동의 발달단계  (0) 2022.03.31
영아기 애착행동  (0) 2022.03.30
영아의 사회성과 자아인식의 발달  (0) 202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