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동발달론54 영아기의 운동 발달 영아기 운동발달은 신체 성장과 뼈와 근육, 대뇌 중추신경계의 통합 성장으로 신생아기의 단순한 반사운동에서 눈과 손의 협응력과 같은 구체적 조작 기능과 배밀이와 같이 몸을 이동시키는 이행운동으로 발달하게 된다. 1) 운동발달의 원리 영아의 운동발달은 신체발달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순서와 기본원리에 의해 진행되는데 영아의 개별적 발달 특성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2) 운동발달의 특성 영아기 운동발달은 크게 눈과 팔, 손의 협응으로 물체를 만지거나 잡으려는 조작 기능과 운동발달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몸을 움직여서 장소를 이동하는 이행운동 두 가지로 구분된다. -조작 기능의 발달 조작 기능은 손과 팔을 이용해서 어떤 사물을 만지거나 잡으려는 근육의 운동이다. 할버슨(Halverson, 1931)은 정육면체 블록을.. 2022. 3. 15. 영아기의 생리 기능의 발달 영아가 성장해 가면서 월령 수의 증가에 따라 기본적인 생리 기능을 습득하게 된다. 하나의 예로 영아가 낮과 밤에 대해 인지하면서 수면 상태 및 시간이 고정화되고, 치아는 수유에서 이유식으로 전환하면서 유동식에서 고형식을 섭취하면서 단단한 물질을 씹고 부수는 등의 발달을 이루며 배변훈련을 통해 배변활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수면 하루 평균 18~20시간의 수면을 취하던 신생아기에서 영아기로 접어들면서 수면시간이 줄어든다. 6~12개월에는 14~16시간, 1~2세에는 12~14시간으로 차츰 줄어들고 밤보다 낮에 깨어 있는 시간은 길어져 성인의 수면 형태를 나타낸다. 생후 6개월경 대부분의 영아들은 밤 수면 시간이 길어지고 낮에는 하루 2~3회 정도 약 2시간씩 수면을 취하며, 전체적으로 잠자는 횟수.. 2022. 3. 13. 영아기의 골격과 근육 그리고 치아의 발달 1) 골격과 근육의 발달 영아의 골격은 성인의 비해 작으며 비율, 형태, 구성도 차이가 있다. 손목뼈의 경우 생후 1년의 영아는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인에 이르러는 9개의 뼈로 완성된다(정옥분, 2002), 영아의 뼈는 출생 시 연골에서 성장함에 따라 경 골화 되어. 신체를 지탱하고 내장기관도 보호한다. 영아의 두개골은 6개의 천문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마 위 중앙의 대천문과 이마 뒷부분의 소천문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아직 경 골화 되지 않아서 연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9~12개월경에 이르면 소천문에서 대천문 순으로 닫히게 된다. 6개의 천문이 닫히기 전 머리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지면 신체 기형 또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보호해야 한다. 근육의 발달은 몸무게의 발달과 거의 같은 속도로.. 2022. 3. 13.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신체 성장과 발달 영아기와 걸음마기는 아기가 태어난 2개월 후부터 만 2세경까지 혼자 걸을 수 있는 시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인간의 전 일생 중 신체,운동,인지,언어,사회,정서 등 모든 부분에서 가장 빠르게 발달한다. 특히 신체적으로 양적 성장과 함께 대근육과 소근육을 섬세하고 세련되게 움직이는 질적 변화를 보인다. 1) 신체 성장 및 발달 영아기는 신체발달이 가장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초기 6개월까지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르다. 이러한 영아기의 성장을 “성장 급등(growth spurt) 현상”이라고 한다. 성장 급등 현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일생 동안 두 번 있는데, 제1성장 급등기(the firstgrourth spurt)는 영아기에 나타하며, 사춘기에 제2성장 급등기(the second growth spurt).. 2022. 3. 11.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