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5

사회학습이론 - 반두라 1) 반두라 캐나다의 앨버타(Alberta) 지방에서 태어난 반두라(Abert Bandura, 1925~ )는 사회적 상황 속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훨씬 더 빨리 학습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반두라의 이론을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또는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이라고도 하며, 인지적 요소가 강조되었기 때문에 사회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이라고도 한다. 반두라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imitation)하여 학습하는 모델링(modeline)을 강조하였다. 특히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때 잘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렇게 다른 사람이 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보고 대리 경험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증가시키거.. 2022. 2. 18.
정신분석이론 - 에릭슨 정신분석 이론가 에릭슨은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억압하는 사회적 요인의 역할에 보다 큰 비중을 두었다. 이런 점에서 에릭슨의 이론은 심리사회적 이론(psychosocial theory)이라 부른다. 1) 에릭슨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난 에릭슨(Erik Erikson, 1902~1994 프로이트의 이론을 더 정교화하고 확대하여 발전시켰다. 그의 주요 저서 「아동기와 사회(Childhood and Sociepy)」(1950)에서 프로 이드가 손대지 못했던 상이한 문화적 여진에서 자라는 아동과 정상아동들의 생활 전개를 보여주었다. 에릭슨은 한 인간의 발달이 공통적인 일련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개인의 성격은 일련의 상호 관련된 관계들을 거쳐 형성된다고 보았다. 에릭슨은 프로이트가 나눈 발달단계마다 해결해.. 2022. 2. 17.
정신분석 이론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tic theory)은 인간의 성격 ·정서 등 인성발달과정을 설명하였는데 인간의 연령에 따른 갈등 극복 양상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성격구조는 질적인 변화를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대표적 정신분석 이론가에는 프로이트(Freud)와 에릭슨(Erikson)이 있다. 그들은 내적 갈등 요인을 설명하는 데 있어 그 강조하는 관점이 달랐다. 프로이트는 성욕이나 공격욕 등 인간의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욕구의 표출을 강조하였다. 1) 프로이트 체코의 모라비아(Moravia)에서 태어나 정신분석의 아버지로 불리는 프로이트(Signmund Freud, 1856~1939)는 성욕 이론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빙산에 비유하여 의식 · 전 의식 · 무의식.. 2022. 2. 16.
행동주의 이론 학습 이론(learning theory)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 행동주의 이론(behaviorism theory)은 성숙 이론과는 달리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환경(nurture)이라고 생각한다. 행동 주의는 로크(John Locke, 1632~1704)의 백지설(tabula rasa)의 개념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발달을 외부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행동 및 심리적 특성들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행동 주의자로 파블로프(Pavlov), 왓슨(Watson), 스키너(Skinner)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이들은 발달을 과학적 접근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졌다. 1) 손다이크 손다이크(Eward L. Thorndike,1874~1949)는 학습의 기본 형식을 시행착오에 의한.. 2022. 2. 15.
성숙이론 성숙주의 이론(maturation theory)은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의 "발달이란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서 전개된다."는 말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 당시 루소의 말은 단지 추측이었지만 18세기 태생학(embryology)에서 발달이 순서적인 성장이라는 증거가 나오게 되었다. 성숙 이론은 유아 발달의 과정을 유전적(nature) 요인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유아의 발달과정은 이미 순서적으로 결정되어 있다는 관점으로 유아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환경은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유아 본래의 능력에 넘치는 과도한 시도 및 노력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입장이다. 유아의 성숙 수준을 넘는 .. 2022. 2. 14.
아동연구의 윤리 아동 연구의 윤리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할 때 연구 결과가 인간 전체에 큰 공헌점이 있다 해도 아동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는 아동의 건강, 안녕, 존엄함, 자존감을 손상시키는 연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권리를 존중하고 권익을 보호하여야 한다. 즉 연구에 앞서 연구대상자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히지는 않을지 개인적인 권리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생각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 결과가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아동들은 성인보다 쉽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아동 스스로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가 아니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2022. 2. 12.
아동발달 연구자료 수집 방법 아동 발달에 대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관찰법, 자기 보고식 방법, 생리적 심리측정법 등이 이용된다. 1) 관찰법 관찰법은 어떤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그것을 관찰하고 기록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자연적 관찰과 구조화된 관찰로 구분할 수 있다. 관찰법의 절차는 연구자의 의도에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어떤 경우에는 관찰되는 모든 행동을 서술식으로 상세히 기록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미리 정한 관찰 항목을 적은 기록지를 마련해 놓고 행동을 관찰하면서 연구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기록지에 행동 유무나 빈도 또는 행동의 강도나 시간적 길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자연적 관찰 자연적 관찰(natural observation)은 연구대상자의 행동을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관찰하는 .. 2022. 2. 11.
아동에 대한 연구설계 방법 아동에 대한 연구설계는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와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로 구분할 수 있다. 발달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1930년대까지는 질적 연구가 폭넓게 인식되었으나 20세기 중반에 실증주의와 양적 패러다임을 강조하게 되면서 질적 연구는 차츰 감소되고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의 대부분이 통계적 분석법을 사용한 양적 연구로 이루어지다가 요즘 다시 질적 연구가 대두되었다. 아동에 대한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 그리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이 두 방법을 병행하는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1. 양적 연구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 설계는 실험 연구와 비.. 2022.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