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84

유아기의 신체발달 1. 신체적 발달 급격한 신체적 성장을 하는 영아기를 거친 유아기의 성장속도는 비교적 느리며, 신체 크기의 개인차는 더 커진다. 영아기에 비해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신체의 크기나 모습에서의 현저한 변화이다. 매년 7cm의 성장을 거치는 과정에서 몸통은 길어지고 커지면서 내장기관들은 적절하게 자리 잡고 척추도 곧게 되며, 체지방이 감소되고 근육이 늘어나게 된다. 신체적으로 양적 성장이 급속히 진행되었던 영아기를 거치고 유아기에 이르면 보다 질적인 성장을 이루게 된다. 머리와 몸, 팔다리의 비율이 변화되고, 근육 협응력과 신체조절력이 높아지면서 운동능력이 향상되며 지각능력이 정교해지는데, 무엇보다 뇌의 성장이 성인기준의 80%까지 진행된다. 이 장에서는 유아기의 신체적 성장, 뇌의 성장, 운동기능의 발달에.. 2024. 2. 19.
낯가림과 격리불안 (1) 낯가림 낯가림 (stranger anxiety)은 6개월부터 나타나며, 보편적으로 주 양육자와의 애착의증거로 낯선 사람이나 환경에 대한 불안반응을 이야기한다. 이는 생후 8~10개월경에가장 절정에 이르고 생후 15개월경에 이르면 점차 소멸된다. 낯가림의 정서를 갖고있는 영아에게 다가가면 영아는 심한 불안 증세를 보이는데 울음을 보이거나 고개나몸을 반대로 돌리는 등의 회피행동이 나타난다. 따라서 영아가 낯가림의 정서를갖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애착이 형성되기 이전부터 낯선 타인과 환경의 접촉 기회를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영아와의 애착이 형성되지 않은 타인의 경우에는조심스럽게 영아에게 다가가 사회적 친분을 형성해야 한다. 영아가 심한 낯가림을한다면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을 탐색하는 데 방해가 될.. 2024. 2. 18.
애착의 유형 애착의 유형은 부모의 일관적인 상호작용 및 반응과 영아의 수용에 의해 영아기 애착이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영아기 애착을 애인스워스(Ainsworth)는 여덟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된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하여 영아의 애착의 질을 평가해서 크게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으로 구분하고, 다시 세부적으로 불안정애착을 회피애착, 저항애착, 혼란애착으로 분류하여 총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안정애착의 경우 부모는 자신의 행동을 아이의 욕구를 반영하여 맞추고 밝은 미소와 온화한 분위기 속에서 풍부한 감정을 표현하고 잦은 신체 접촉을 통해 애착을 형성한다. 반면 불안정애착의 경우는 부모가 일관성 없는 태도로 영아를 대하거나 영아와 부모 간의 신뢰감 형성이 부족하고 영아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정서적으로 불안함.. 2024. 2. 17.
영아기 애착행동의 발달단계 보울 비는 아기가 어머니와 어떻게 애착을 형성해 나가는가에 대해 영유아기 발달단계와 관련해서 애착의 발달단계를 전 애착기(preattachment phase: 출생 후~6주), 애착 시작기(beginning of attachment: 6주~6개월 또는 8개월), 애착 형성기(clear-cutattachment: 6개월 또는 8개월~18개월 또는 24개월), 동반자 관계 형성기(formation of goalcorrected partnership: 18개월 또는 24개월 이후)의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단계 : 전 애착기(preattachment phase : 출생 후 ~ 6주) 신생아는 미소 · 울음 · 응시 · 붙잡기 등 타고난 다양한 신호체계로 양육자를 곁에 있도록 이끈다. 이 시기 아기는 엄.. 2022. 3. 31.
영아기 애착행동 보울 비(Bowlby, 1969)는 영아와 주 양육자 사이에 형성되는 유대관계를 애착(attachment)이라는 용어로 발달심리학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애착이란 특정한 두 사람 간에 형성되는 애정적인 유대관계'로 정의되며 이는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특징적인 행동이다(강경미 외, 2006), 생후 6개월경에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이는 점차적으로 기타 가족으로, 또래 친구들로 확대 형성된다. 영아의 애착 형성 행동은 애착 대상과의 접촉을 끊임없이 지속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애착 대상이 사라지면 슬픔의 정서를 표출하고, 애착 대상 및 애착물과 함께 있으면 편안한 감정을 표출하지만 애착 대상이 아닌 타인과 함께 있는 경우에는 초조함과 불안함의 감정을 표출한다. 애착을 형성하는 데 가장.. 2022. 3. 30.
영아의 사회성과 자아인식의 발달 1) 영아의 사회성 발달 한 인간이 태어나 태어난 문화 속에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생활양식, 즉 가치 신념, 지식 등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사회성 발달은 타인,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조절해 나가면서 영아 스스로 자아를 형성하고 타인과 더불어 성장하는 인간관계 능력을 향상시킨다. 영아의 초기 사회성 발달의 표현은 울음과 미소, 눈 맞춤의 형태로 나타나며 생후 2~3개월경에는 주 양육자에게 시선을 고정하거나 미소를 짓는 등의 사회적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영아 최초의 인간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사회성 발달의 시작이다. 영아는 이 시기 이후부터 주 양육자 특히 엄마와의 관계에서 깊은 애정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엄마 이외의 타인에게도 관심과 흥미를 보인다. 영아가 4~6개월.. 2022. 3. 29.
영아의 정서발달 영아에게 있어 정서는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내적 감성, 욕구, 생리적 불편함과 요구를 표현하는 것으로 영아의 발달에 다음의 기능을 한다. 첫째, 영아 스스로 자신의 내적 · 외적 상태를 성인에게 알림으로써 성인으로 하여금 자신을 돌보게 하는 기능이다. 둘째로 특정한 감정 및 자극에 대해 특정한 행동으로 반응하도록 동기 부여의 기능이다. 그 예로 주 양육자와 눈 맞춤을 하면 까르르' 소리를 내면서 웃음을 보이거나 배가 고프면 팔과 발을 버둥거리면서 배고픔에 대한 불쾌함이 나타난다. 이러한 정서는 출생 초기에는 기쁨과 슬픔의 단조로운 정서로 표현되나 복잡하고 세분화된 정서는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분화된다. 따라서 출생 시 자극에 대한 불편함의 단순한 정서는 생후 3개월이 되면 싫어함, 혐오, 슬픔으로.. 2022. 3. 28.
영아의 기질발달 인간의 성격발달에 기초가 되는 인성발달은 영아기에서부터 시작되며, 이 시기 인성발달의 대표적인 것은 기질이다. 기질은 영아기에 독특하게 나타나는 반응으로 이는 성인들의 성격에 기초가 된다. 또한, 한 인간의 행동 유형 및 정서에 대한 반응의 표현으로, 선천적으로 결정된 요인을 기초로 후천적 경험에 의한 특이한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1) 영아의 기질 토마스와 체스(Thomas & Chess, 1977)는 영아의 기질을 활동 수준, 주기성, 산 만성, 접근성/철회 성, 적응성, 주의집중의 시간, 반응의 강도, 반응의 시작, 분위기의 질 등 아홉 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로즈 발트(Rothbart, 1981)는 행동 수준, 진정성, 주의집중의 범위/지속성, 무거운 절망감, 참을 수 없는 절망감, 긍정적인 애정.. 2022. 3. 25.
반응형